* 설왕은 박사의 신학 수업
* 교재: 다니엘 밀리오리의 "기독교 조직신학 개론"
6. 하나님의 섭리와 악의 신비
6.3. 섭리와 악에 관한 재고찰 (p. 229-233)
하나님의 권능과 피조물의 자유의 조화 문제
바르트의 섭리론: 하나님의 보존, 동행, 통치
밀리오리는 현대 신학자들의 고민은 하나님의 권능과 피조물의 자유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라고 언급합니다. 이 소단원의 제목은 섭리와 악에 관한 재고찰이지만 주로 바르트의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
전통적 섭리론의 문제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인정하는 데 있습니다. 하나님이 모든 것을 주관한다면 이 세상에 발생하는 악에 대해서도 하나님이 책임져야 하는 것인데요. 바르트는 이와 같은 전통적 섭리론은 '스토아적 순응 사상'과 구별되지 않는다고 비판합니다. 그렇다면 이 세상에 발생하는 악에 대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악에 대해서는 당연히 저항해야 합니다. 악을 척결해야죠. 그런데 그 악을 뒤에서 주관하고 있는 분이 하나님이라면 악에 대한 저항은 하나님에 대한 반역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가르침의 불가피한 결과로 근대 문화에서는 '변덕스러운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에 대한 반역'이 출현했던 것이다. (229)
그래서 바르트는 그리스도를 통해서 드러나 계시와 섭리론을 결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바르트의 신학 자체가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그의 시도는 일관성이 있습니다.
바르트는 하나님의 섭리는 모든 피조물을 위한 보존과 동행과 통치를 포함한다고 주장합니다. 물론 이 세 측면 모두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나타난 하나님과 연결합니다. 바르트는 예수 그리스도를 끌어들임으로써 추상적이고 사변적인 섭리론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계시된 하나님의 섭리를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예수와 하나님의 관계는 한쪽이 명령하고 다른 한쪽이 명령에 순종하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 간에 협력하고 존중하는 관계입니다. 따라서 섭리론이 가지고 있는 지배적인 통제의 논리를 벗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바르트는 기독교 섭리론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신성과 전능성에 대한 선험적인 정의를 거부하고 대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계시된 하나님의 은혜에 집중한다. (231)
그래도 여전히 악의 문제는 어려운 문제인데요. 바르트는 '무성'이라는 개념을 만듭니다. 무성이란 영어로는 nothingness라고 하고 무nothing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바르트는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할 때 신비스럽게 발생한 무성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낯선 힘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인간은 감히 이 무성에 대항하기 어렵다고 주장합니다. 무성이라는 이름부터가 비판을 받기 쉬운 이름입니다. 악의 문제에 대한 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더 어려운 이름을 가진 무언가를 내세워서 설명하려는 시도로 보입니다. 학자들도 바르트의 설명을 형이상학적 사변으로 비판합니다. 또한 무성이 낯선 힘으로 존재하고 그것과 대항해서 싸울 수 있는 존재는 하나님 밖에 없다면 인간은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밀리오리는 바르트의 비판자보다는 옹호자의 관점으로 바르트를 설명합니다. 바르트의 주장은 악에 대한 수동성을 조장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은혜의 절대적 우월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그러나 제가 볼 때는 수동성이 문제가 아니라 전통적인 섭리론에서 더 나아진 것이 별로 없어 보이는 것이 문제입니다. 하나님의 창조 과정 중에서 알 수 없는 이유로 발생한 무성이 존재한다는 말은 악의 문제에 대해서 잘 모른다는 말과 별로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악의 문제는 무성의 문제인데 그 무성의 원인을 잘 모른다면 악의 문제를 모른다는 말과 비슷한 것 같습니다. 또한 하나님이 원하지 않았는데 무성이 발생했다면 하나님의 주권도 침해를 당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말하면서 무성의 발생을 말하는 것 역시 서로 충돌합니다.
📚책을 소개합니다 📚
❤️ 예수의 비유로 풀어 본 사랑 이야기 "사랑해설"(설왕은 지음)
http://aladin.kr/p/0L760
🛐 예수님이 가르쳐 준 기도, 제대로 알고 합시다 "주기도문으로 응답하라" (설왕은 지음)
http://aladin.kr/p/RMivn
'[신학] 기독교조직신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독교조직신학개론] 6-5. 삼위일체 하나님과 인간의 고통 (2) | 2024.12.19 |
---|---|
[기독교조직신학개론] 6-4. 최근의 신정론 (0) | 2024.12.09 |
[기독교조직신학개론] 6-2. 신학 전통에서 섭리와 악 (2) | 2024.12.04 |
[기독교조직신학개론] 5.6. 창조론과 현대 과학 (3) | 2024.12.03 |
[기독교조직신학개론] 5.5. 창조의 모델들 (1) | 2024.12.02 |